티스토리

Minux
검색하기

블로그 홈

Minux

mwkinfra.tistory.com/m

IT Infra

구독자
1
방명록 방문하기
반응형
SMALL

주요 글 목록

  • 스펙업 직무역량 강화캠프- IT 기술영업 3기 1️⃣ 직무역량 강화캠프를 참여하게 된 이유와 동기 시스템 엔지니어로 일하면서, IT 기술영업 직무를 옆에서 간접적으로 많이 봐왔으며, 그에 따라 흥미를 갖게되서 한번쯤 들으면 좋을거 같아서 참여를 결정했었다. 2️⃣ 희망하는 기업과 직무 일본 NTT, 에퀴닉스, KT엔지니어링, SKB / 네트워크 엔지니어, 시스템 엔지니어 3️⃣ 캠프를 경험하면서 느꼈던 점 캠프를 참여하며 실제 대표적인 벤더사인 IT 기술 벤더사(미국 D사) 현직자 멘토분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기회 자체가 정말로 소중하게 다가왔다. 직접 IT 기술영업 직무에서 핵심적으로 하는 업무들 (PPT 발표 및 제안서 작성)등을 실무적으로 체득할 수 있는 강의 방식또한 굉장히 인상적이였다. 소수정예로 참여하게되어 개인적인 질문과 면접 Tip..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9. 16.
  • RSA 키교환 -Handshake Protocol 구조 정리 RSA 암호 시스템 l 1978년 MIT에서 발표된 최초의 공개키 암호 시스템 비밀로 유지하는 값: 비밀키, 두 개의 소수 p, q 공개되는 값: 공개키, 두 소수의 곱(N) 1~6번까지의 과정: SSL handshake 7번: Session 8번: Session 종료 공감수 3 댓글수 0 2023. 6. 18.
  • 운영체제-병행 프로세스 병행성이란? 여러 개의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가 동시 수행되는 시스템의 특성 병행 프로세스 –동시 수행되는 여러 개의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 1개의 CPU일 때 사용하는 시스템: 인터리빙 형식 여러 개의 CPU일 때 사용하는 시스템: 병렬처리 형식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메모리 구조에 따라 나눌 수 있음 프로세스 간의 관계 독립 프로세스 -수행 중인 다른 프로세스에 영향을 주지도 받지도 않음 -데이터 및 상태를 다른 프로세스와 공유하지 않음 프로세스의 실행 결정적: 실행결과는 입력에 의해서만 결정됨 재생 가능: 같은 입력에 대해 항상 동일한 실행결과 협력 프로세스 -수행 중인 다른 프로세스와 영향을 주고 받음 -데이터 및 상태를 다른 프로세스와 공유 프로세스의 실행 비결정적: 실행결과는 실행순서에 좌우됨 ..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6. 18.
  • 운영체제-SRT (Shortest Remaining Time) 스케줄링 알고리즘 SRT (Shortest Remaining Time)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현재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 중에서 실행에 필요한 시간이 가장 적은 프로세스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방식이다. SRT 알고리즘으로 진행하는 과정 1, A가 가장 먼저 도착하여 CPU를 할당받아 실행 도착시각이 2에 CPU 사이클이 3인 B가 도착함으로 B에게 CPU를 할당 A의 남은 사이클: 6-2=4 (CPU 사이클) - (사이클이 더 작고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가 도착한 시간 전까지 실행된 시간) 2. B가 실행됨 도착시각 3에 CPU 사이클이 1인 C가 도착함으로 C에게 CPU를 할당 B의 남은 사이클: 3-1=2 (CPU 사이클) - (사이클이 더 작고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가 도착한 시간 전까지 실행된 시간) 3. C 사이클.. 공감수 8 댓글수 1 2023. 6. 18.
  • 운영체제-프로세스 스케줄링 프로세스 스케줄링 여러 가지 작업의 처리순서를 결정하는 것 예: 프로세스 스케줄링, 디스크 스케줄링 등 스케줄링 기본 목표 공정성- 모든 프로세스가 적정 수준에서 cpu 작업을 할 수 있게 함 균형-시스템 자원이 충분히 활용될 수 있게 함 일괄처리 운영체제 -처리량의 극대화 -반환시간의 최소화 -CPU활용의 극대화 시분할 운영체제 -빠른 응답시간 -과다한 대기시간 방지 실시간 운영체제 -처리기한 맞춤 스케줄링 단계 하위단계 스케줄링 준비 큐에 있는 프로세스를 선택하여 사용 가능한 cpu를 할당(디스패치) 하는 역할 수행 주체: 디스패처 스케줄링 정책 = 스케줄링의 목표에 따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기본적인 정책 -선점 스케줄링 정책 실행 중인 프로세스에 인터럽트를 걸고 다른 프로세스에 cpu를 할당할 수.. 공감수 5 댓글수 1 2023. 6. 18.
  • 운영체제-프로세스와 쓰레드 운영체제에서 중요하게 구별해야하는 프로세스와 쓰레드에 대해 정리해봤다. 프로세스 = 실행 중인 프로그램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CPU, 메모리, 파일, 입출력장치 등 실행에 필요한 자원이 할당된다. -프로세스 제어 블록은 프로세스를 명시해 주는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프로세스는 생성, 준비, 실행, 대기, 종료의 다섯 상태 중 하나로 존재하며, CPU의 스케줄링, 입출력 대기 등에 따라 준비, 실행, 대기 등으로 상태가 변화되며 동작한다. 쓰레드 = 프로세스에서 실행의 개념만 분리한 것으로 디스패칭의 단위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는 하나 이상의 쓰레드가 있을 수 있어, 다중 쓰레드를 생성하여 프로세스 내에서의 다중처리를 할 수 있다.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의 차이 프로그램: 동작.. 공감수 5 댓글수 0 2023. 6. 18.
  • 운영체제-기초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사용자 하드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의 매개체 ex) 컴파일러, 레지스트리 값 변경 리눅스 맥 등등 운영체제의 역할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 관리 자원:hw자원, sw자원, 데이터 프로그램 동시 실행 시 cpu와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 컴퓨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목적 사용자 지원 사용자가 내린 명령을 해석하여 실행하게 함 사용자와 하드웨어 사이의 매개체 역할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목적 운영체제가 없던 초기의 컴퓨터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이 직접 컴퓨터의 지원을 제어했다. 하나의 하드웨어를 여러 사용자가 사용할 때 어려움이 많았다. 운영체제가 있는 컴퓨터 시스템 하드웨어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에 운영체제 위치 운영체제가 컴퓨터 제어 효율적인 자원 관.. 공감수 4 댓글수 0 2023. 6. 18.
  • IEEE 802.11i EAP 인증 EAP 인증방식이 도입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WEP 인증방식을 먼저 살펴보아야한다. 위 구조에서 알 수 있듯이 WEP 인증서버는 AP와 사용자가 다이렉트 통신을 주고받는다. 이러한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사용자가 주고받는 AP가 불법 AP라 하더라도 차단이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방식이 EAP 방식이다. EAP 인증방식에선 인증서버(AS)에 등록된 AP만 인증을 할 수 있게 개선하였다. 따라서 해시값 생성 시 동일한 해시값만 나오기 때문에 WEP 인증방식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였다. 인증서버에 등록된 AP만 사용이 가능하다. 공감수 5 댓글수 2 2023. 6. 17.
    반응형
    LIST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